돈 공부

주식공부 #8. 기업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오늘도 버는 중입니다. 2025. 4. 20. 01:35
반응형

초보자도 쉽게 보는 재무제표와 PER, 배당 체크포인트

 

“어떤 주식을 사야 하죠?”
“그냥 유명한 기업 사면 되나요?”
“기업을 분석하는 기준이 너무 어렵던데요…”

주식 투자는 결국
어떤 기업을 사느냐가 수익을 좌우합니다.

그런데 초보자 입장에서는
✔ 기업이 좋은지 나쁜지
✔ 수치나 재무제표를 어떻게 봐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지곤 하죠.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업 선택 기준 3가지
✔ 아주 쉬운 용어로
✔ 실제 예시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 1. PER (주가수익비율)로 가격 적정성 보기

**PER(Price Earning Ratio)**는
기업의 주가가 수익(이익)에 비해 비싼지, 싼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PER 공식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삼성전자 주가가 70,000원이고,
1년에 주당 7,000원의 이익을 낸다면,

→ PER = 70,000 ÷ 7,000 = 10

📌 PER이 10이라는 뜻은
“이 회사에 투자하면 10년 뒤 수익으로 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PER로 기업 비교하기

기업 PER 판단
A사 30 비쌈 (고평가)
B사 10 보통 (적정 평가)
C사 5 쌈 (저평가 가능)

단, PER은 업종마다 기준이 다르니
같은 산업끼리 비교
하는 것이 중요해요.

 

✅ 2. 재무제표에서 확인해야 할 3가지

재무제표는 기업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의사에게 진단서를 보여주는 것과 같죠.

초보자는 아래 3가지만 보면 충분합니다.

 

📌 ① 매출액(Revenue)

  • 기업이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
  • 매출이 꾸준히 성장 중인지 확인

예: 삼성전자 매출
→ 2021년: 230조
→ 2022년: 280조
→ 성장세라면 긍정적 신호

 

📌 ② 영업이익(Operating Profit)

  • 본업에서 실제로 남는 이익
  • 외환, 일회성 제외한 핵심 수익성 지표

예: 매출은 늘어도 영업이익이 줄면
→ 효율이 떨어지는 상태일 수 있음

 

📌 ③ 부채비율(Debt Ratio)

  • 기업의 부채가 자산에 비해 얼마나 많은지
  • 100% 이하가 이상적, 200% 넘으면 위험 신호

📌 부채가 적고 자산이 탄탄한 기업이 장기적으로 안전합니다.

 

✅ 3. 배당이 있는지 확인하기

배당이란?
→ 기업이 이익 중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으로 나눠주는 것

초보자 입장에서는
✔ 배당금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 기업의 안정성과 주주 환원 의지를 알 수 있어요.

예시

기업 배당금 (연)배당수익률
삼성전자 1,400원 약 2%
POSCO홀딩스 10,000원 약 5%
KT&G 5,000원 약 6%

📌 배당금이 꾸준히 지급되는 기업 = 수익성과 안정성이 입증된 기업

 

✅ 그 외 초보자 체크리스트

✔ 이름 들어본 기업인가요?
→ 모르는 회사를 무작정 사는 건 위험해요.

✔ 최근 3년 매출·이익 증가 추세인가요?
→ 한 해 잘된 기업은 많지만, 꾸준한 기업은 드물어요.

✔ PER과 배당수익률은 업계 평균 대비 어떤가요?
→ 한 번 비교만 해봐도 수준이 보입니다.

✔ 주가가 떨어졌을 때, ‘더 살 용기’가 생기나요?
→ 자신 있는 기업인지 확인하는 질문이에요.

 

✍️ 마무리 – 좋은 기업을 고른다는 건 ‘같이 갈 기업을 고르는 것’

주식 투자는 기업과 함께 성장하는 여정입니다.
그 기업이
✔ 꾸준히 돈을 벌고
✔ 수익을 남기고
✔ 주주에게도 나눠주고 있다면

당신은 그 성장과 수익을 함께 누릴 수 있는 동행자가 됩니다.

👉 다음 투자 전, 위의 3가지만 꼭 체크해보세요.
눈에 보이는 숫자 뒤에 있는 기업의 건강을 읽을 수 있게 될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