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격이 오르면 수익? 배당이 뭔가요? 주식 수익의 2가지 구조 총정리
“주식하면 돈 번다는데, 어떻게 벌어요?”
“팔아야 벌 수 있나요? 그냥 들고 있어도 수익이 나요?”
“배당이 좋다는데, 그게 뭔가요?”
이런 궁금증,
주식을 막 시작하거나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쯤 해보셨을 질문입니다.
주식으로 돈을 버는 방법은 크게 2가지예요.
하나는 시세차익, 또 하나는 배당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구조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 개념
✔ 예시
✔ 수익 계산 방법
✔ 장단점
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1. 시세차익 – 주가 차이로 버는 돈
시세차익이란
내가 산 가격보다 비쌀 때 팔아서 생기는 수익입니다.
쉽게 말하면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죠.
💸 예시
- A기업 주식을 주당 10,000원에 100주 샀어요
- 한 달 뒤, 주당 13,000원이 됐어요
- 이때 모두 팔면 → (13,000원 - 10,000원) × 100주 = 300,000원 수익
📌 이게 바로 시세차익입니다.
시세차익의 장점
- 수익률이 높을 수 있어요
- 단기/중기/장기 등 자기 전략대로 운영 가능
- 기업 성장에 따라 주가 상승 여력 큼
단점
- 주가가 떨어지면 손실도 발생할 수 있음
- 사고팔 때 수수료·세금 존재
- 타이밍 판단이 어렵고, 심리적 압박이 큼
✅ 2. 배당금 – 주식을 갖고만 있어도 생기는 수익
배당금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를
주주에게 나눠주는 현금 or 주식 보상입니다.
내가 어떤 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다면,
그 기업이 매년 수익을 내고 배당을 하면
주당 얼마씩 현금이 계좌로 들어오게 되는 거예요.
💰 예시
- B기업이 주당 500원의 배당금을 준다고 해요
- 내가 200주 보유 중이라면
→ 500원 × 200주 = 100,000원 현금 수익
배당의 장점
- 매년 일정한 현금 흐름 확보
- 주가가 하락해도 배당수익률로 방어 가능
- 장기투자자에게 적합한 안정적 수익 구조
단점
- 모든 기업이 배당을 주진 않음
- 고배당 = 고성장 기업이 아닐 수 있음
- 배당일 이후에는 주가 하락(배당락) 가능성 존재
✅ 예: 삼성전자 주식으로 수익 나는 2가지 구조
항목 | 내용 |
매수 시점 | 2024년 1월 주당 65,000원에 매수 |
매도 시점 | 2025년 1월 주당 72,000원에 매도 → 7,000원 시세차익 |
배당 | 연 1,500원 × 보유 주식 수 → 현금 수익 발생 |
👉 이렇게 주가 상승 + 배당금 수익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기업도 있어요.
✅ 주식 수익 구조, 어떻게 선택하면 좋을까?
당신의 성향은? | 추천 전략 |
수익률은 낮아도 안정적으로 | 배당 중심 투자 |
리스크를 감수해도 수익 극대화 | 시세차익 중심 성장주 |
둘 다 챙기고 싶다 | 시세차익 + 배당 겸비한 중대형 우량주 |
📌 초보자라면
고배당 ETF 또는 우량주 장기투자가 가장 안전한 입문 전략입니다.
✅ 마무리 – 주식 수익은 ‘변동’과 ‘보상’을 다루는 게임입니다
주식은 단순히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는 개념만이 아닙니다.
✔ 어떤 기업에
✔ 언제 투자하고
✔ 얼마 동안 보유하며
✔ 어떤 수익 구조를 기대하는지
이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곧 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아는 법이 됩니다.
👉 지금 당장 거래하지 않더라도
오늘 배운 내용을 기준으로 어떤 주식이 나에게 맞는지 비교해보세요.
반응형
'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6. 배당주는 뭐고, 언제 어떻게 받나요? (2) | 2025.04.15 |
---|---|
주식공부 #5. 장기투자 vs 단타, 초보는 뭘 해야 하죠? (0) | 2025.04.15 |
주식공부 #4. ETF란? 초보자가 종목보다 ETF를 사야 하는 이유 (3) | 2025.04.12 |
주식공부 #3. 주식 계좌 만들기부터 매수까지, 실제 순서 총정리 (0) | 2025.04.12 |
주식공부 #1. 주식이 뭔가요? 예금이랑 뭐가 달라요?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