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공부

주식공부 #2. 주식으로 돈 버는 구조, 진짜 어떻게 되나요?

by 오늘도 버는 중입니다. 2025. 4. 10.
반응형

가격이 오르면 수익? 배당이 뭔가요? 주식 수익의 2가지 구조 총정리


“주식하면 돈 번다는데, 어떻게 벌어요?”
“팔아야 벌 수 있나요? 그냥 들고 있어도 수익이 나요?”
“배당이 좋다는데, 그게 뭔가요?”

이런 궁금증,
주식을 막 시작하거나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쯤 해보셨을 질문입니다.

주식으로 돈을 버는 방법은 크게 2가지예요.
하나는 시세차익, 또 하나는 배당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구조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 개념
✔ 예시
✔ 수익 계산 방법
✔ 장단점
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1. 시세차익 – 주가 차이로 버는 돈

시세차익이란
내가 산 가격보다 비쌀 때 팔아서 생기는 수익입니다.
쉽게 말하면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죠.

💸 예시

  • A기업 주식을 주당 10,000원에 100주 샀어요
  • 한 달 뒤, 주당 13,000원이 됐어요
  • 이때 모두 팔면 → (13,000원 - 10,000원) × 100주 = 300,000원 수익

📌 이게 바로 시세차익입니다.

시세차익의 장점

  • 수익률이 높을 수 있어요
  • 단기/중기/장기 등 자기 전략대로 운영 가능
  • 기업 성장에 따라 주가 상승 여력 큼

단점

  • 주가가 떨어지면 손실도 발생할 수 있음
  • 사고팔 때 수수료·세금 존재
  • 타이밍 판단이 어렵고, 심리적 압박이 큼

 

✅ 2. 배당금 – 주식을 갖고만 있어도 생기는 수익

배당금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를
주주에게 나눠주는 현금 or 주식 보상입니다.

내가 어떤 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다면,
그 기업이 매년 수익을 내고 배당을 하면
주당 얼마씩 현금이 계좌로 들어오게 되는 거예요.

💰 예시

  • B기업이 주당 500원의 배당금을 준다고 해요
  • 내가 200주 보유 중이라면
    → 500원 × 200주 = 100,000원 현금 수익

배당의 장점

  • 매년 일정한 현금 흐름 확보
  • 주가가 하락해도 배당수익률로 방어 가능
  • 장기투자자에게 적합한 안정적 수익 구조

단점

  • 모든 기업이 배당을 주진 않음
  • 고배당 = 고성장 기업이 아닐 수 있음
  • 배당일 이후에는 주가 하락(배당락) 가능성 존재

 

✅ 예: 삼성전자 주식으로 수익 나는 2가지 구조


 

항목 내용
매수 시점 2024년 1월 주당 65,000원에 매수
매도 시점 2025년 1월 주당 72,000원에 매도 → 7,000원 시세차익
배당 연 1,500원 × 보유 주식 수 → 현금 수익 발생

👉 이렇게 주가 상승 + 배당금 수익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기업도 있어요.

 


 

✅ 주식 수익 구조, 어떻게 선택하면 좋을까?

 

당신의 성향은? 추천 전략
수익률은 낮아도 안정적으로 배당 중심 투자
리스크를 감수해도 수익 극대화 시세차익 중심 성장주
둘 다 챙기고 싶다 시세차익 + 배당 겸비한 중대형 우량주

📌 초보자라면
고배당 ETF 또는 우량주 장기투자가 가장 안전한 입문 전략입니다.

 


 

✅ 마무리 – 주식 수익은 ‘변동’과 ‘보상’을 다루는 게임입니다

주식은 단순히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는 개념만이 아닙니다.

✔ 어떤 기업에
✔ 언제 투자하고
✔ 얼마 동안 보유하며
✔ 어떤 수익 구조를 기대하는지

이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아는 법이 됩니다.

👉 지금 당장 거래하지 않더라도
오늘 배운 내용을 기준으로 어떤 주식이 나에게 맞는지 비교해보세요.

반응형